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프로젝트 한강이란? 프로젝트 신청방법, 신청시기, 디지털화폐 온오프라인 사용처, 사용방법 등 알아보기
디지털화폐(CBDC) 프로젝트 한강이란?
한국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실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는 실거래 테스트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이용자들은 기존 예금을 디지털화폐로 전환한 ‘예금토큰’을 사용하여 다양한 온·오프라인 상점에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 한눈에 보기
- 프로젝트 명칭: 프로젝트 한강 (CBDC 실험)
- 주관 기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 테스트 기간: 2025년 4월 1일 ~ 6월 30일
- 참가 인원: 최대 10만 명 (일반 이용자)
- 사용처: 오프라인 매장 (이디야, 세븐일레븐, 농협하나로마트 등), 온라인 쇼핑몰 (현대홈쇼핑, 땡겨요, 코스모 등)
- 참가 방법: 참가 은행 앱을 통해 신청 및 예금 토큰 전환
- 예금 토큰 한도: 1인당 100만 원, 총 전환 한도 500만 원
프로젝트 한강의 목적과 배경
한국은행은 디지털화폐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거래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개인정보 침해 우려로 CBDC 도입에 반대 의사를 밝힌 것과 대조적으로, 한국은 실제 경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화폐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고 상용화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참가 신청 방법 및 절차
1. 참가 자격
-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 참가 은행의 수시입출식 예금 계좌 보유자
-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각 1만6000명), 기업은행, 부산은행 (각 8000명)
2.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3월 25일부터 각 참가 은행별 모집 시작
- 신청 방법: 해당 은행의 모바일 앱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신청
- 전자지갑 개설: 신청 완료 후 참가자의 은행 계좌와 연계하여 전자지갑 개설 가능
3. 사용 방법
- 이용자는 예금 계좌에서 예금토큰으로 전환하여 QR코드를 통해 결제
- 전환된 예금토큰은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
- 실험 종료 후 남은 잔액은 원래 계좌로 환급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발생 + 실시간 서울 교통정보 + 영상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발생 + 실시간 서울 교통정보 + 영상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어떤 사고였나?24일 오후 6시 29분,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대형 싱크홀이 발생
turkeyclub.tistory.com
예금 토큰 사용처
예금 토큰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사용처
- 카페: 이디야커피 (부산·인천 중심 100개 매장)
- 편의점: 세븐일레븐 전 매장
- 서점: 교보문고 오프라인 매장
- 마트: 농협하나로마트 (6개 지점)
온라인 사용처
- 홈쇼핑: 현대홈쇼핑 (모바일 웹 및 앱)
- K-POP 굿즈 구매: 코스모(COSMO)
- 배달 플랫폼: 땡겨요
온오프라인 사용처별 디지털화폐 사용방법 메뉴얼
프로젝트 한강의 기대 효과
- 디지털 결제 혁신: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하고 빠른 결제 환경 조성
- 금융 서비스 확장: 예금 토큰을 활용한 다양한 금융 서비스 모델 실험
- 소상공인 지원: 결제 수수료 부담 없이 즉시 결제금 수령 가능
- 정부 정책 연계 가능성: 향후 디지털 바우처 프로그램과 연계 가능
경남 산청 울산 울주 경북 의성 전국 실시간 산불 피해 진화 현황 알아보기 + 전국 고속도로 교통
경남 산청 울산 울주 경북 의성 전국 실시간 산불 피해 진화 현황 알아보기 + 전국 고속도로 교통상황 cctv 최근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 전국 각지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며 심각한
turkeyclub.tistory.com
마무리
이번 프로젝트 한강을 통해 한국은행은 CBDC의 실용성을 검증하고, 향후 디지털화폐 상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참가 신청을 원하는 분들은 각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하고, 디지털화폐의 미래를 직접 경험해보세요!